블루스 스케일에 대해서 블루스 스케일을 이론적으로 쉽게 찾아 응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과 블루스 스케일을 거의 같은 스케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C 마이너 펜타토닉 C, Eb, F, G, Bb, (C) 1, b3, 11, 5, b7, (1) C 블루스 스케일 C, Eb, F, Gb, G, Bb.. 자료실 2010.08.16
테션의 정의 - 4편 마이너코드, 메이저코드, 도미난트코드의 텐션을 했었지요. 정리를 해보면, 마이너코드는 7,9,11,13, 메이저코드는 Maj7,9,#11,13 도미난트는 7,b9,9,#9,#11,b13,13 이었죠... 글구 b9과9,9과#9, 13과b13은 같이 쓰면 안좋다구 그랬죠??? 그럼 나머지 다른 아리까리한 코드들을 한번 보도록 하지요. 우선 5음이 변화된 코.. 자료실 2010.08.16
텐션의 정의 - 3편 오늘은 Dominant 7코드에서 활용되는 비화성적 코드인 "sus4"를 살펴보도록 하지요. 얘는 텐션에 포함된 정규 재즈코드라기보다 서스펜션노트(계류음)이라고 봐야겠습니다. 비화성음이지요.제자리에 계속 머물거나 2도 밑으로 가주어야 자연스럽습니다. 지저분한 소리가 나기때문에 뒤에는 반드시 깔끔.. 자료실 2010.08.16
텐션의 정의 - 2편 오늘은 도미난트 7화음의 텐션을 알아보도록 하지요. 도미난트 7화음은 흔히.Ⅴ7 코드를 말한다는건 아들 아실껍니다. **앗~!!!여기서 또 짚고 넘어가야 겠군요 재즈는 3화음이 아닌 7화음을 기본형으로 삼습니다.. 따라서 장화음이라면 장장7화음을 의미하지여..Maj7(ex>도미솔시~CMaj7)코드 말예여. 그리.. 자료실 2010.08.16
텐션의 정의 - 1편 재즈 코드들을 들으면 도대체 규칙이 있는것도 같고 없는것도 같고, 막 치는것도 같고 아닌것도 같고... 물론 규칙이 있지요. 막 친다고 재즈틱한 소리가 나는건 아니지요. 그렇지만 재즈 피아니스트들은 늘상 쳐도 재즈틱 하잖아요. 분명히 규칙이 존재합니다. 그 규칙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 자료실 2010.08.16
재즈 코드 진행 - 6편 오늘은 전조입니다. 기본골격은 교과서적으로 한번 이끌어가보도록 하지요. 첫째로 공통화음을 통한 전조 공통화음을통해서 갈수있는 가장 듣기쉽고 흔한조는, 바로 근친조입니다 (5도 아래위의 조와 그의 나란한조). 따라서 딸림조(5도위조), 버금딸림조(5도아래조), 나란한조(조표같은 장단조)등으.. 자료실 2010.08.16
재즈 코드 진행 - 5편 우리는 도미난트가 해당 조성의 V라는것을 알았습니다. 이 지식을 전제하고서...이제는 도미난트라는 코드 자체를 단독으로 봅시다. 도미난트는 5도아래코드(I)로 가려는 성격이 있습니다. 그리고 변칙적으로는 2도 위(VI)와 3도 아래(III)로 가려고 합니다. 이 해결코드들은 메이져코드든 마이너코드든 .. 자료실 2010.08.16
재즈 코드 진행 - 4편 오늘은 장조음악속에서 단조에서 빌려오는 코드들과, 그 반대로 단조음악에서 장조에서빌려온 코드를 쓰는 것을 배웁니다. 음악용어로는 변성화음이라는 말을 씁니다. 그럼 우선은 단조와 장조에서 쓰이는 화음들의 차이를 알아야겠지요? 기본적으로 단조는 화성단음계를 사용해보도록 합시다.. 장.. 자료실 2010.08.16
재즈 코드 진행 - 3편 2차적딸림7화음 (Secondery Dominant 7th Chord = 부속7화음-->전부 같은화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배운 V - I 의 연장입니다. 여러분들은 다장조곡에서 C, Am, G7, Dm, Em, F 등의 화음이 마구마구 나오다가 갑자기 F#이 있는 D7이나, C#이 있는 A7, G#이 있는 E7코드 같은 놈들이 나오는 경우를 자주 경.. 자료실 2010.08.16
재즈 코드 진행 - 2편 그동안 배운것은 재즈에서 쓰는 텐션들과, 여러음악에서 쓰이는 코드의 종류들,그리고 코드진행이었습니다. 텐션은 주로 재즈에서 쓰이지만, 코드 종류와 코드진행은 거의 모든 장,단조음악의 기본입니다.우선 잊지 말아야 할것은 우리는 7음계 장조에 대해 배우고 있다는 사실입니다.이것 말고, 단.. 자료실 2010.08.16